노래 속의 천문학 1편

최근 가수 윤하의 새 앨범에서 신기한 제목의 노래를 한 곡 찾았다. ‘오르트 구름’이라는 노래 제목은 천문학에서 태양계의 경계이자 혜성들의 고향을 의미한다. 이처럼 천문학적인 단어나 개념이 노래 속에 사용된 경우는 생각보다 많다. 과연 이과적인 천문학적 단어들이 어떤 방식을 거쳐 문과적 감성으로 재탄생했을까.


윤하 – 오르트 구름

이 글의 시작점이 된 노래 ‘오르트 구름’. 이번 2021년 발매된 윤하의 정규 6집 수록곡이다. 원곡 가수인 윤하가 직접 보이저호의 여정을 떠올리며 만든 노래라고 언급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생각하고 가사를 보면 재미있는 부분이 많다.

두 눈 앞의 끝, 사뿐 넘어가

한계 밖의 trip, 짜릿하잖아

녹이 슨 심장에 쉼 없이 피는 꿈

무모하대도 믿어 난


보이저호는 1977년 발사된 이후 현재 약 200억km 이상의 거리를 날아가고 있다. 가사 속에 나온 것처럼 이미 한계치를 넘어가 버린 상황이어서 지금 보이저호의 여행은 보너스나 다름없다. 실제로도 고장 난 몸을 이끌고 여행 중인 보이저호에게 남은 시간은 대략 5년 이내라고 한다. 그 시간이 지나면 모든 통신이 끊긴 채로 우주를 떠돌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보이저호의 과정을 한계를 넘어 새로운 여정으로 나아가는 희망적인 목소리로 변환했으니 인상적일 수밖에 없다. 물론 보이저호가 노래의 제목인 오르트 구름을 항해하려면 지금 속도로는 대략 300년 가까이 남았다는 점은 옥에 티라고 할 수 있겠다.

보이저호와 오르트구름의 위치를 표현한 그림. 태양과 지구 사이를 1로 두는 AU가 단위이다.
오르트구름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먼지 알 수 있다. (이미지: NASA)



정승환 – 우주선

2019년 발매된 정승환의 앨범 ‘안녕 나의 우주’의 타이틀곡이다. 역시나 제목부터 심상치 않다. 거기다 이 노래의 영어 제목은 무려 보이저이다. 노래 제목의 우주선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잘 알 수 있다.

잠이 참 오지 않던 밤

끝이 없을 걸 알지만

나는 먼 여행을 시작했죠

아무도 보이지 않고

아무 향기도 없는 곳

빛이 돼줘요


화자가 보이저호가 되어 떠나는 여행을 낭만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그런데 잘 보면 아무 향기도 없는 곳이라는 표현이 있다. 물론 우주에서 냄새를 맡을 수는 없다. 공기로 전파되는 것이 냄새인데 전달해줄 공기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우주가 아무 향이 없는 곳은 아니다. 실제 우주에 있는 수많은 원소가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다. 국제 우주정거장에서 돌아온 우주인들의 우주복에 묻은 냄새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한 결과 태워진 고기류의 냄새가 난다고 한다. 그렇다면 아무 향기도 없는 곳이 아니라 아무 향기도 맡을 수 없는 곳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우주의 향기를 담았다고 해서 화제가 된 향수. 오드 스페이스(이미지: 오드 스페이스)




퀸 – ‘39

영국의 락밴드인 퀸의 곡인 ’39. 1975년 발매된 퀸의 네 번째 앨범은 퀸 역대 최고의 앨범에 꼽힐 정도로 유명하다. ( 이 앨범에 그 유명한 보헤미안 랩소디도 담겨있다. ) 락밴드와 천문학이라니 얼핏 들으면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 세계 그 어떤 밴드를 찾아봐도 퀸 만큼 천문학과 밀접한 밴드가 없다. 그 연관성은 ‘39라는 곡을 작사 작곡한 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에게 있다. 밴드 활동을 하기 전부터 이미 천체물리학 박사 학위를 밟고 있던 메이는 이 노래 가사에 상대성 이론을 넣어 버린다.

For so many years have gone though I’m older but a year

Your mother’s eyes from your eyes cry to me

나는 한 살밖에 먹지 않았지만 너무 긴 세월이 흘러

너의 눈에 비친 네 어머니가 나를 보며 우는구나


노래는 XX39년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지구의 환경 변화로 우주 먼 곳을 탐사할 지원자를 받게 된다. 지원자들은 먼 우주에서 새로운 정착지를 발견하여 돌아오지만 너무 많은 시간이 흘러버린 지구에서 슬퍼하게 된다. 우주 속 지원자의 시간과 지구에 남은 가족의 시간이 다르게 흐른다는 내용은 상대성 이론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빛에 속도에 가깝게 움직인 지원자들의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현상. 바로 시간 지연 현상이다. 상대성 이론의 이 현상을 노래 속에 녹여낸 것은 실체 천체물리학 박사 학위를 가진 브라이언 메이가 아니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아 그리고 신기하게도 이 노래 속의 플롯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는 영화가 노래 발표 39년 후 개봉하게 된다. 그 영화는 우리나라에서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인터스텔라‘이다.

인터스텔라의 포스터



BTS – 134340

전 세계를 강타한 아이돌 BTS의 노래에도 천문학이 담겨 있다. ’134340‘은 2018년에 발매한 BTS 정규 3집에 포함된 노래이다. 제목부터 가사 전체적으로 어떤 천체를 가리키고 있다. 바로 명왕성이다. 134340은 명왕성의 식별번호이다.

넌 정말로 Eris를 찾아낸 걸까

말해 내가 저 달보다 못한 게 뭐야


명왕성이 2006년 행성에서 퇴출된 것을 이별에 비유하여 노래하고 있다. 그중 가사 속 Eris(에리스)가 등장하는데 실제로 왜행성 에리스의 발견이 명왕성 퇴출에 큰 기여를 했다.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 비슷한 질량의 천체가 계속 등장하면서 불안한 지위를 유지하던 명왕성이 에리스의 발견으로 결정타를 맞은 것이다. 그런 부분을 생각하면 굉장히 고증이 잘 된 가사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두 번째 줄에 있는 ’달‘이라는 가사보다 ’행성‘이라고 썼어야 조금 더 과학에 부합하지 않았을까? ( 실제로 태양을 돌고 있는 것은 행성이지 달이 아니다. )

뉴호라이즌스 호가 찍은 명왕성의 모습.
이제는 왜행성 중 하나일 뿐이다.(사진: NASA)



성시경 – 태양계

2011년 발매된 성시경의 정규 7집 앨범에 수록된 곡인 태양계. 제목부터가 굉장히 천문학적인 느낌이 난다. 역시 태양계 속 천체들의 움직임에서 모티브를 따 온 가사가 보인다.

태양을 따라 도는

저 별들처럼 난

돌고 돌고 돌고


사실 노래는 전체적으로 아주 슬프고 애절한 분위기를 풍긴다. 끊임없이 돌고 있는 행성의 움직임을 끝나버린 사랑에 대한 미련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만 가사에서 볼 수 있듯 ’태양을 따라 도는 별‘이라고 표현한 점이 걸린다. 태양계라는 노래 제목에 맞춰서 태양을 따라 도는 행성이라고 했어야 하는 것이 천문학적으로는 더 맞는 표현이다. ( 물론 태양이 쌍성이었다면 맞는 표현이었겠지만. ) 여담으로 이 노래의 영어 제목은 Solar system이 아니라 ’I love you love you And I love you’이다. 굉장히 서정적인 노래에 딱딱한 단어인 system이라는 단어가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 태양계의 움직임. 태양 역시 은하 중심을 돌고 있으니 행성들은 더 힘들게 돌고 있다.
(출처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0jHsq36_NTU)






2편에 계속




Copyright 2021. 의왕천문소식 김용환 연구원 All right reserved.

dydgks0148@astrocamp.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