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6월 30일. 물리학연감(Annalen der physik)의 편집자는 한 편의 논문을 받게 된다. ‘운동하는 물체의 전기동역학에 관하여(On the Electrodynamics of Moving …

의왕천문소식은 재미있는 천문학 이야기로 밤하늘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는 소식들을 제공합니다.
의왕천문소식은 재미있는 천문학 이야기로 밤하늘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는 소식들을 제공합니다.
1905년 6월 30일. 물리학연감(Annalen der physik)의 편집자는 한 편의 논문을 받게 된다. ‘운동하는 물체의 전기동역학에 관하여(On the Electrodynamics of Moving …
“서울에서도 천체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요?” 네! 찍을 수 있습니다. 서울의 밤하늘에도 별은 떠있어요. 다만 도시에서 만들어지는 인공 불빛이 너무 밝아 …
지난 5월 1일 새벽에 밤하늘을 보신 분들이 계실까요? 이날은 목성과 금성이 아주 가까워지는 날이었답니다. 많은 분들이 목성과 금성의 모습을 촬영해 …
1964년 5월 20일, 벨 연구소의 연구원이던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은 이상한 신호를 하나 포착하게 된다. 안테나를 어느 위치로 돌려도 잡히던 …
희미한 별자리인 외뿔소자리에 수소 구름으로 이루어진 성운이 있습니다. 그 모습이 마치 한 송이 장미처럼 보여서 장미성운이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장미성운은 맨눈으로 …
대표적인 봄철 별자리인 목동자리의 옆에는 사냥개자리라 불리는 작은 별자리가 있습니다. 목동이 자신이 키우는 양을 지키기 위해 끌고 다니는 사냥개 두 …
냉전 시대, 전 세계는 두 조각으로 나뉘어 서로에게 총부리를 겨누고 있었다. 세계 곳곳에서 크고 작은 충돌이 이어지던 이 시기에 패권을 …
구상성단과 혜성, 유성을 동시에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사진 중앙을 푸른색의 혜성이 가로지르고 있어요. …
겨울철 대육각형이 서쪽 지평선으로 들어갈 준비를 하면 어두운 별로 이루어진 게자리가 머리 꼭대기로 이동하며 봄을 알립니다. 여름철 생일 별자리인 게자리는 …
1963년 3월 16일, ‘큰 적색편이를 가진 준성 천체’라는 제목의 두 쪽짜리 논문이 네이처 지에 실리게 된다. 이 논문을 작성한 저자 …
2016년 2월 11일 워싱턴 D.C. 전 세계에 동시 중계되는 기자회견이 하나 열렸다. 기자회견의 주제는 ‘중력파 검출’. 무려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
1980년대. NASA는 우주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식어가는 것에 큰 위기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1969년 달 최초 착륙 이후 하늘을 찌르던 관심은 …
12월의 천체 사진 주인공은 삼각형자리 은하입니다. 가을철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삼각형자리 근처에 놓인 나선 은하이지요. M33 또는 바람개비 은하라고 …
1758년. 당시 천문학자들에게는 한 가지 목표가 있었다. 16년 전 사망한 천문학자 애드먼드 핼리가 예측한 대로 정말 혜성이 나타날지 알아내는 것이었다. …
겨울철 밤하늘은 다른 계절에 비해 화려합니다. 밝은 별과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천체들이 많기 때문이죠. 겨울철에는 생일 별자리로 유명한 쌍둥이자리도 …
밤하늘에 떠오른 하트! 11월의 천체사진은 카시오페이아자리에 놓인 성운 IC 1805입니다. 하트를 닮은 모양 때문에 하트 성운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와 …
11월 19일은 두 가지 천문현상을 볼 수 있는 재미있는 날이에요. 2021년의 보름달 중 가장 작은 보름달이 뜨고, 또 부분월식도 일어나거든요! …
1572년 11월 11일. 덴마크의 젊은 귀족 티코 브라헤는 카시오페이아자리 방면에서 전에 없던 ‘별’을 발견한다. 금성 밝기 수준으로 빛나는 별은 이전에 …
지난여름부터 밤하늘에 별 보다 밝게 빛나는 점을 발견하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멀리서 날아오는 비행기처럼 보이기도 하고, 외계 생명체가 몰고 다니는 …
가을철 사각형을 이루는 네 별 중 세 별은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자리에 속한 별입니다. 가을철 사각형에는 페가수스의 목과 머리가 연결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