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릭스(Helix) 성운, 또는 나선 성운이란 이름을 가진 이 성운은 물병자리 방향에 놓인 행성상 성운입니다. 신의 눈동자란 별명을 가지고 있어요. 정말 …

의왕천문소식은 재미있는 천문학 이야기로 밤하늘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는 소식들을 제공합니다.
의왕천문소식은 재미있는 천문학 이야기로 밤하늘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는 소식들을 제공합니다.
헬릭스(Helix) 성운, 또는 나선 성운이란 이름을 가진 이 성운은 물병자리 방향에 놓인 행성상 성운입니다. 신의 눈동자란 별명을 가지고 있어요. 정말 …
12월 14일은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있는 날입니다. 보통 유성우들은 모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부스러기로 생기지만,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소행성 ‘파에톤’의 잔해들이에요. 올해는 …
아주 오랜 기간, 하늘은 곤충과 조류, 그리고 몇몇 부유성 물체들이 지배하던 공간이었다. ( 물론 포유류 중에도 비행하는 생명체가 있기는 하다. …
동굴 성운은 세페우스자리 방향에 놓인 성운으로, 지구와 약 2,400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사진 중앙에 빛나는 부분에서는 별이 활발하게 만들어지고 있어요. 새로 …
바로 내일 밤! 11월 8일이죠. 밤하늘을 꼭 올려다 보셔야 합니다. 개기월식이 일어나는 날이거든요. 월식은 태양과 지구, 그리고 달이 한 줄로 …
우주에 만약 우리만 있다면 엄청난 공간 낭비겠지. 칼 세이건의 원작 소설을 영화화한 ‘콘택트’에 등장하는 이 대사는 다른 외계 생명체가 있냐는 …
백조자리 부근에는 밤하늘에 베일을 흩날린 모습의 성운이 있습니다. 베일 성운이란 이름의 이 성운은 초신성이 폭발하고 남은 잔해입니다. 태양보다 약 20배 …
가을철에 동쪽 하늘에서 떠오르는 별자리들은 다른 계절보다 밝지 않아서 찾는 것이 쉽지 않지요. 그러나 별자리를 잘 모르는 사람이더라도 카시오페이아자리는 한 …
1582년 10월 4일. 일과를 마치고 잠든 로마인들은 10월 15일 아침에 눈을 뜨게 된다. 한 사람도 빠짐없이 똑같이 10일이 사라진 것이다. …
지난 6월 중순부터 말까지 새벽하늘엔 행성들이 일렬로 늘어선 현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수성, 금성, 천왕성, 화성, 목성, 토성이 한 줄로 …
1859년 9월 1일 오전. 영국의 천문학자 리처드 캐링턴은 평소처럼 태양을 관찰하며 흑점을 그리고 있었다. 그러던 순간 평소와 다르게 굉장히 밝게 …
지난 봄·여름의 작은 별자리들에 이어 이번에는 여름철 별자리들을 카메라에 담아봤어요.은하수를 따라 펼쳐진 여름철 별자리들의 모습을 감상해 볼까요? 독수리자리 여름철 대표 …
이번 주말(8/12~8/14)엔 돗자리를 들고 밤하늘을 보러 가볼까요?이날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가 있는 날이거든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가 일어나는 건 스위프트-터틀이란 혜성 때문이에요. 스위프트-터틀 혜성은 …
미국과 소련이 달을 향한 레이스에 들어갔던 1960년대, 그 대결이 아폴로 11호 착륙으로 종지부가 찍힌 이후에도 우주 패권 경쟁은 다른 방향으로 …
처녀자리, 목동자리, 사자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백조자리…이 별자리들은 봄과 여름철에 뜨는 유명한 별자리들입니다.하지만 이 별자리들 말고도 봄과 여름철에 볼 수 있는 …
7월 14일 목요일 밤엔 밤하늘을 꼭 바라보세요!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을 볼 수 있거든요. 달이 왜 커져요? 달이 지구 주위를 …
1687년 7월 5일. 라틴어로 된 책이 세상의 빛을 보게 된다.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Mathematical Principles of Natural Philosophy)’라는 제목을 가진 이 …
초승달 성운(NGC6888)은 여름철 별자리인 백조자리의 심장 부근에 놓인 성운입니다. 지구와는 약 5천 광년 정도 떨어져 있어요. 1792년에 윌리엄 허셜이라는 천문학자가 …
6월 중순부터 말까지 새벽 4시쯤에 하늘을 보면 한 줄로 밝은 점이 놓인 걸 볼 수 있을 겁니다. 새로운 별자리일까요? 이것의 …
1905년 6월 30일. 물리학연감(Annalen der physik)의 편집자는 한 편의 논문을 받게 된다. ‘운동하는 물체의 전기동역학에 관하여(On the Electrodynamics of Moving …